나이가 들수록 혈압이 올라가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인데요. 어느 정도가 고혈압인지, 나이별 정상 혈압수치 범위는 얼마인지 혈압 정상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이별 정상 혈압수치 (고혈압 수치)
혈압, 왜 알아야 할까요?
혹시 '혈압'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혈압은 우리 몸의 혈관 속을 흐르는 피의 압력을 말하는 건데요, 마치 수도관 속 물의 압력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이 압력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우리 몸에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높은 혈압 (고혈압): 혈관 벽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혈관이 손상되고, 심장병, 뇌졸중 같은 무서운 질병의 위험을 높일 수 있어요. 마치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고 터지는 것과 비슷하죠.
- 낮은 혈압 (저혈압): 혈액이 우리 몸隅隅까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어지럼증, 피로감, 심하면 실신까지 일으킬 수 있답니다. 펌프의 힘이 약해서 물이 졸졸 흐르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그래서 우리는 혈압 수치를 꾸준히 확인하고,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 자동차 엔진오일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듯이 말이죠.
혈압이 올라가는 것에 대해서 민감하게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혈압이 조금만 올라가더라도 큰일 날 것처럼 생각하는 분들이 계시긴 한데요. 혈압이 200~220 이렇게 급격하게 많이 올라갔을 때는 뇌혈관의 압력 때문에 혈관이 터질 수도 있으니 무서운 건 어쩔 수 없겠죠.
뇌출혈의 위험성 때문에 좀 더 빨리 떨어뜨리는 것이 좋긴 하지만 정상에서 약간 올라가는 정도로 150~160 또는 170 이렇게 된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어떤 일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혈압 수치를 보고 어느 정도 약을 강화시켜서 복용할 수는 있지만 어떠한 패턴들을 보고 만약 그 순간에 일시적으로 올라가는 것들이나 육체적으로 무리가 왔거나 또는 심리적으로 흥분된 상태에서 올라간 것이라면 그 문제가 없어지면 혈압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대한고혈압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학회지, 연구과제 공모, 기초의학, 임상의학 분야, 고혈압 연구 안내.
www.koreanhypertension.org
의료보험공단 검진 결과지에는 정상 혈압 수치를 120~80 이하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120~40, 80~90 사이를 고혈압 전 단계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고혈압은 140~90이 넘어가는 상황을 말합니다.
혈압 수치가 120이랑 140은 작은 차이가 아니지만, 우리가 일률적으로 "130이 넘어가면 다 혈압약을 먹어야 됩니다"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 130이 조금 넘더라도 그것이 괜찮다고 하는 관점보다는 좀 주의 깊게 내 몸을 지켜보자가 맞는 거 같습니다.
나이별 정상혈압수치 | 남자 최고 혈압 | 남자 최저 혈압 | 여자 최고 혈압 | 여자 최저 혈압 |
15~19세 | 110~134 | 59~79 | 101~123 | 57~75 |
20대 | 113~137 | 64~84 | 103~125 | 60~78 |
30대 | 114~142 | 67~89 | 106~134 | 63~83 |
40대 | 126~150 | 71~95 | 112~146 | 68~90 |
50대 | 121~166 | 73~97 | 117~159 | 70~94 |
60대 | 124~166 | 73~95 | 124~166 | 71~93 |
70대 이상 | 128~170 | 71~95 | 131~173 | 68~94 |
혈압은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조금씩 올라가는데요. 그래서 우리가 똑같은 130이라고 하더라도 또는 140이라고 하더라도 젊었을 때의 혈압과 조금 더 나이가 들었을 때 혈압은 조금 다른 경우입니다.
130 이상, 140 이상 이렇게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는 것은 혈압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우리 뇌라든지 심장, 신장이나 눈 등 여러 장기가 혈압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됩니다.
HDL 콜레스테롤 높이는 음식 정리
고지혈증은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심근경색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시킵니다. 고지혈증 원인 중 하나로 LDL 나쁜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습관과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HDL 좋
incheonluv.tistory.com
고혈압의 치료 대상은 혈압 수치가 아닙니다. 고혈압은 혈관이 좁아져 혈압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고혈압 환자가 수치가 올라갔다고 고혈압 수치에만 매달리고 있다가 혈관이 좁아지는 것에 대한 해결을 하지 못한다면 나중에 치명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혈압 수치를 내리기 위해서 매달리지 말고 식단 관리와 운동을 통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혈관을 치료하려고 노력을 하시기 바랍니다.
혈압 관리는 마치 꾸준한 운동처럼 작은 노력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답니다. 여러분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오늘부터 혈압 관리를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에 좋은 운동 (노안 눈건강, 시력회복 운동법) (0) | 2023.09.07 |
---|---|
왼쪽 아랫배 통증 (아랫배가 아파요) (1) | 2023.08.29 |
갱년기 증상과 원인 (에스트로겐 역할) (0) | 2023.07.10 |
두릅(드릅)의 효능과 종류, 칼로리 (1) | 2023.04.12 |
난유 효능 부작용 (ft. 난유 만드는 법)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