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밀양 박씨 돌림자, 파 족보 이야기

by 백세나무 2025. 4. 5.

밀양 박씨는 한국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대표적인 성씨로 그 역사와 분파가 매우 다양합니다. 밀양 박씨의 시조와 돌림자(항렬자), 주요 파 등 족보를 중심으로 뿌리와 전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밀양 박씨 돌림자, 파 족보

 

족보란 시조부터 역대 조상의 얼과 역사가 담겨 있는 집안의 뿌리이자 역사입니다.

 

밀양박씨파항렬자족보

 

밀양 박씨의 시조는 박혁거세(朴赫居世)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라의 건국시조인 박혁거세는 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69년 경주 남산 골암리의 알영정 옆 나정(蘿井)에서 백마가 절하는 곳에 있던 큰 알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혁거세'라는 이름은 '빛나는 임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박혁거세는 13세에 신라의 초대 왕이 되어 61년간 통치했으며, 신라의 기틀을 다졌습니다. 그의 후손들이 신라의 왕위를 이어갔고 이후 전국으로 퍼져나가 밀양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한 일족이 밀양 박씨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었습니다.

 

박씨는 밀양 외에도 순천, 함양, 반남 등의 본관을 가진 박씨가 있지만 그 규모면에서 밀양 박씨가 압도적입니다.

 

밀양 박씨 파

밀양 박씨는 여러 파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파는 특정 조상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습니다.

 

파명 (派名) 조상 이름 세대
밀성부원군파 박언부(朴彦孚) 8세
은산군파 박영균(朴永均) 14세
전객령파 박천경(朴天卿) 15세
아당공파 박조(朴調) 16세
행산공파 박세균(朴世均) 14세
좌상공파 박춘(朴椿) 14세
규정공파 박현(朴鉉) 16세
간성공파 박지생(朴祗生) 규정공 5세
호군공파 박의문(朴疑問) 규정공 6세
절도사공파 박대손(朴大孫) 규정공 7세
대간공파 박의영(朴義榮) 규정공 9세
낙촌공파 박충원(朴忠元) 규정공 11세
숙민공파 박승종(朴承宗) 규정공 14세
연안공파 박승조(朴承祖) 규정공 14세
김제공파 박승황(朴承黃) 규정공 14세
부정공파 박안민(朴安民) 규정공 13세
양성공파 박승안(朴承顔) 규정공 14세
영해공파 박안국(朴安國) 규정공 13세
별좌공파 박응현(朴應賢) 규정공 12세
참군공파 박용현(朴用賢) 규정공 12세
화록공파 박호현(朴好賢) 규정공 12세
의암공파 박승근(朴承槿) 규정공 14세
경력공파 박효원(朴孝元) 규정공 11세
전한공파 박인원(朴仁元) 규정공 11세
충정공파 박숭원(朴崇元) 규정공 11세
여산공파 박재현(朴齋賢) 규정공 12세
지평공파 박우현(朴友賢) 규정공 12세
송월공파 박호원(朴好元) 규정공 11세
승지공파 박순원(朴舜元) 규정공 11세
눌재공파 박증영(朴增榮) 규정공 9세
문도공파 박훈(朴薰) 규정공 10세
주부공파 박혜(朴蕙) 규정공 10세

 

각 파는 자신들의 파조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족보를 편찬하고 종중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밀양 박씨는 파별로 다양한 문화재와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습니다.

 

밀양 박씨 인터넷 족보 열람 및 각 지파 중심의 자손록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밀양박씨 인터넷족보>


 

인구조사 통계청에 따르면 박씨는 2015년 4,192,074명 이상으로 대한민국 성씨 순위 3위입니다. 이중 밀양 박씨가 박씨 인구의 77.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성씨조사는 15년에 한번씩 진행합니다.)

 

우리나라 성씨 순위(대한민국 성씨 순위)와 종류

우리나라 성씨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상위에는 김씨, 이씨, 박씨가 있을 테고요. 내 성씨는 몇 위일까요? 궁금해서 찾아본 우리나라 성씨 순위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성씨 순

incheonluv.tistory.com

 

밀양 박씨 돌림자 (항렬자)

돌림자(항렬자)는 같은 항렬의 후손들이 이름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글자로 족보를 통해 가문의 계통을 파악하고 항렬을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밀양 박씨의 돌림자는 파(派)별로 또 시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 돌림자를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돌림자들을 통해 가문의 흐름을 엿볼 수 있습니다.

 

1. 규정공파

세수(파시조) 세수(시조) 항렬자
20세 64세 재(載)○, 기(基)○
21세 65세 진(鎭)○, 수(錫)○
22세 66세 준(準)○, 영(永)○
23세 67세 래(來)○, 화(和)○
24세 68세 노(魯)○, 성(性)○, 병(炳)○, 희(熙)○
25세 69세 규(圭)○, 신(信)○, 재(在)○
26세 70세 종(鍾)○, 상(商)○, 용(鎔)○
27세 71세 순(淳)○, 수(洙)○, 호(浩)○, 원(源)○
28세 72세 상(相)○, 주(柱)○, 인(仁)○
29세 73세 열(烈)○, 용(容)○, 희(熙)○
30세 74세 중(重)○, 시(時)○, 준(俊)○

 

2. 충헌공파-판서공파

세수(파시조) 세수(시조) 항렬자
26세 67세 수(壽)○, 희(囍)○, 삼(喑)○, 기(基)○
27세 68세 선(善)○, 현(鉉)○, 석(錫)○, 한(漢)○
28세 69세 영(永)○, 수(洙)○, 택(澤)○, 주(柱)○
29세 70세 식(植)○, 근(根)○, 한(恒)○, 연(然)○
30세 71세 염(燁)○, 유(裕)○, 변(變)○, 훈(勳)○
31세 72세 희(喜)○, 군(勳)○, 재(宰)○, 길(吉)○

 

3. 충헌공파-정언공파

세수(파시조) 세수(시조) 항렬자
23세 64세 병(秉)○
24세 65세 용(容)○
25세 66세 원(遠)○
26세 67세 상(商)○
27세 68세 준(準)○
28세 69세 주(柱)○
29세 70세 연(然)○
30세 71세 종(種)○
31세 72세 용(鎔)○
32세 73세 해(海)○
33세 74세 직(稙)○
34세 75세 사(思)○
35세 76세 성(城)○
36세 77세 기(冀)○
37세 78세 봉(鳳)○
38세 79세 정(汀)○
39세 80세 래(來)○
40세 81세 형(炯)○
41세 82세 배(培)○
42세 83세 만(鏋)○

 

4. 복야공파

세수(파시조) 세수(시조) 항렬자
22세 58세 흠(欽)○
23세 59세 호(浩)○
24세 60세 내(來)○
25세 61세 하(夏)○
26세 62세 희(喜)○
27세 63세 용(用)○
28세 64세 범(範)○
29세 65세 서(書)○
30세 66세 정(正)○
31세 67세 의(義)○
32세 68세 기(紀)○
33세 69세 용(鎔)○
34세 70세 재(宰)○
35세 71세 종(種)○
36세 72세 규(揆)○

 

5. 아당공파

세수(시조) 항렬자
66세 묵(默)○
67세 ○진(鎭)
68세 해(海)○
69세 ○상(相)
70세 제(濟)○

 

밀양 박씨는 오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성씨 중 하나입니다. 자신의 뿌리를 알고 가문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정체성 확립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밖에 성씨 종류와 유래, 역사, 족보, 호칭법 등은 '뿌리를 찾아서'를 참고해 주세요. 지금까지 밀양 박씨 돌림자, 파, 족보 이야기였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뿌리를 찾아서

족보 사이트, 성씨와 본관, 족보의 종류 유래, 촌수, 인구순위, 친인척 호칭법.

www.rootsinfo.co.kr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

댓글